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연금저축 펀드 • ETF, 연말정산 세금환급

본문

노후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 생각해 보셨나요?

“재수없으면 120세까지 산다.”는
말 혹시 들어보셨나요?

행복한 노후를 위해서
'연금저축'은
필수 입니다.

연금저축이란?

급격히 노령화사회로 진행되면서, 노인부양대책이 많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다. 국가는 노령화사회를 해결하기 위해 ‘연금저축’이라는 제도가 나왔으며,국가가 국민들에게 노후를 개인이 준비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제도이며, 그 혜택이 매우 큽니다. 미국에는 '401K'라는 제도가 이와 같은 연금제도이며, 401K로 인하여 미국의 주식시장이 바다가 되었고, 연금 기금이 꾸준히 들어와 새로운 기업들이 계속해서 탄생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런 기업들에는 '애플', '아마존', '테슬라', '넷플릭스', '구글' 등 엄청난 기업들이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그렇다면 우리의 연금 기금들이 '현금'으로 묶여있는 것이 좋을까요? 연금기금이 금융시장에 꾸준히 들어오게 하는 것이 좋을까요? 연금기금이 꾸준히 들어와 한국주식시장이 바다가 된다면 10년, 20년, 30년 뒤 우리가 퇴직 할때쯤 한국에 새로운 기업이 많이 생기고, 그러면 기업에 많은 청년들이 취직을 할 수 있게될 것이며, 청년들 일자리가 해결되면 혼인률 및 출산률은 당연히 올라갈 것이고, 이렇게 좋은제도 꼭 해야되겠죠?

 

개인연금+퇴직연금+국민연금

• 6단계 노후준비 과정

  1. 연금계좌를 개설한다.
  2. 400만원을 넣는다.
  3. 펀드 및 ETF를 선택한다.
  4. 매년 세액공제를 받는다.
  5. 노후에 연금신청을 한다.
  6. 노동없이 풍족한 노후를 보낸다.
노후에 함께하고 싶은 시고르자브종

1.연금저축은 크게 세가지로 나뉜다. (세제혜택 동일)

1) 증권사가입-연금저축 펀드•ETF
2) 은행가입-연금저축신탁
3) 보험사가입-연금저축보험

2. 연금저축 가입, 연금저축 계좌 개설

1) 대한민국사람이면 누구나 가능하다.(방금태어난 신생아도 가능)
2) 증권사앱을 설치하여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한다.
3) 매년 400만원을 납입한다.
4) 펀드 및 ETF를 매수한다.

3. 연금저축의 혜택

1) 세액공제 혜택이 따른다.
가. 연소득 5,500만원 이하
-공제율 : 16.5%
-공제한도 : 400만원
-최대 공제금액 : 400만원X16.5%=660,000원
나. 연소득 5,500만원 초과
-공제율 : 13.2%
-공제한도 : 400만원
-최대 공제금액 : 400만원X13.2%=528,000원
다. 연소득 1.2억원 초과
-공제율 : 13.2%
-공제한도 : 300만원
-최대 공제금액 : 300만원X13.2%=396,000원
2) 배당소득세 및 이자소득세의 세금의 이연
가. 배당소득세 및 이자소득세 (15.4%)를 바로 세금으로 내지 않는다.
나. 배당소득 및 이자소득이 재투자되어 복리효과 발생한다.

4. 연금저축 납입 기간

1) 매년 400만원을 매달 분할 및 일시불 납입
2) 1월1일~12월31일까지 언제든지 납입가능

5. 연금저축 납입한도

1) 연금저축 총 납입 한도는 1,800만원이다.
2) 세제혜택은 400만원까지 가능하다.

6. 연금저축의 연말정산

1) 연말에 연말정산관련 PDF파일을 확인
2) 자동으로 국세청에서 집계가 되며, 연말정산에 반영된다.
3) 연말정산으로 환급받는 돈은 계좌로 들어온다.

7. 환급받은 돈의 복리효과

1) 환급받은 돈을 그대로 써버린다면 복리효과 꽝
2) 세액공제로 혜택받은 돈은 재투자한다.
3) 재투자 방법은 주식 또는 ETF 투자이다.

8. 연금소득세란?

1) 연금수령신청시, 연금소득세를 내게 된다.
가. 55세이상~70세 미만 :5.5%
나. 70세이상~80세 미만 : 4.4%
다. 80세이상 3.3%
2) 이자소득세 및 배당소득세와 비교
이자소득세와 배당소득세는 그 이자와 배당에만 15.4%가 붙지만, 연금소득세는 원금과 이자 및 배당 전체에 붙기때문에 어떤 것이 확실히 유리하다고 확답하진 못하지만,
복리의 법칙을 이해하시는 분이라면 감이 오실 것이라 믿습니다.

9. 연금수령 조건 및 연금 외 수령시 세금

1) 연금수령 조건
가. 만55세 이상,
나. 가입 5년이상
다. 10년 이상의 기간동안 수령
2) 연금 외 수령시 세금
가. 연금저축이 세제혜택이 큰만큼 중간에 해지하면 불이익이 있다.
나. 지금까지 받은 세제혜택을 도로 뱉어내는 것이 아니라, 연금저축납입금액 총금액에 대한 기타소득세 16.5%를 뱉어내야 한다.
다. 절대 해지하지 말라는 것이며, 해지 비율은 매우 낮다.
라.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은 비과세
3) 수령은 정률 또는 정액 신청
가. 매달 정률 또는 정액으로 수령 가능
나. 매달 받는 돈 이외의 남아있는 목돈은 계속해서 자신의 운용하고 있는 투자상품으로 굴러가게 된다.
연금저축 총 누적금액의 16.5%만큼 내야한다.

10. 연금저축납입금액 담보 대출

1) 연금저축담보대출은 가능하다.
2) 해당 증권사마다 조건이나 이율이 다르므로 가입시 확인 후 가입.
3) 한도는 대약 60%정도이며, 일반신용대출에 비해 금리가 저렴한편이다.
*매년 연금저축 총 납입한도가 1800만원이고, 세제혜택은 400만원인데, 400만원 이상을 납입한 부분에 대해서는 중도에 빼서 쓰더라도 기타소득세16.5%가 붙지 않는다.

11. 연금저축수령하기전 사망시

혹시나, 연금을 받기전에 조기사망하게 되면 이 자산들은 금융자산으로 상속처리 된다.
연금저축계좌에 넣고 꼭 '펀드'나 'ETF'에 투자해야 하나요? “아니요, 꼭 그렇지 않아요. 계좌에 넣어 놓기만해도 세제 혜택은 있어요." '펀드 및 ETF'를 아직 선택하지 못했다면 '현금'으로 넣어두셔도 세제혜택은 받을 수 있답니다.
펀드는 회전률과 자산운용사의 투자철학을 살펴보고, 선택하시면 됩니다.
주식을 샀다 팔았다하는 타이밍을 맞추는 자산운용사는 회전률이 매우 높아요, 회전률이 너무 높다면 피하는게 좋습니다.
자산운용사의 투자철학은 매달 우편으로 배송됩니다.
왜 이기업에 투자했는지, 향후 어떠한 성장성때문에 투자를 하였는지 자세하게 글로 설명을 한답니다.
에셋플러스자산운용(슈퍼아시아리치투게더)

세액공제, 소득공제 무엇이 더 좋나요?
세액공제가 소득공제보다 혜택이 좋다고 보시면 됩니다. 세액공제가 더 좋기 때문에 보통 더 좀 짜게 한도를 정한답니다. 세액공제는 구간 내에 있는 사람은 같은 혜택은 받구여, 소득액이 적은 구간에 있을수록 혜택이 크답니다.

노후의 삶의 질은 개인연금이 결정한다.
대한민국 국민 많은 사람이 연금저축계좌를 개설하여 개인연금을 준비한다면 국가 입장에서 매우 이롭다
그래서, 개인이 연금을 준비하는 것을 독려하기 위해서 엄청난 세제혜택을 주고 있는 것이다.
또한, 올해 2022년은 연금저축 세액공제 한도를 400만원에서 600만원으로 확대 (50대 이상) 앞으로 소득이 있는 전 연령층으로 세액공제 한도를 600만원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라고 합니다.
주변을 둘러보시면 알수있죠.
돈 없는 노후는 정말 비참합니다.
모두 연금저축펀드로
편안한 노후 준비하세요.

관련글 더보기